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1

공무원 승진 최저연수 공무원 승진은 우리나라 공무원들의 삶이 업그레이드 됨을 의미 하죠 그럼 공무원 승진 최저연수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겠읍니다 1. 공무원 승진 개념 결원보충의 한 방법으로서 하위계급에 재직하고 있는 공무원을 상위계급에 임용하는 것입니다 2. 공무원 승진임용의 종류 공무원 승진임용의 종류로는 일반승진(심사승진 시험승진)과 근속승진 특별승진 그리고 공개경쟁승진이 있읍니다 3. 공무원 승진소요 최저연수 공무원 승진소요 최저연수는 공무원임용령 제31조에 의하면 일반직공무원 4급 및 5급은 3년이상 재직해야 하고 6급은 2년이상 재직해야 하며 7급 8급 9급은 1년이상 재직해야 합니다 우정직공무원 우정2급은 3년이상 재직해야 하고 우정3급 우정4급 우정5급 우정6급은 1년 6개월 이상 재직해야 하며 우정7급 .. 2024. 2. 17.
2024 공무원 봉급표 2024년은 공무원 봉급이 2.5% 인상으로 인해 상향 조정 되었읍니다 다음 내용에서 봉급표를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아래는 2024년 직종별 공무원 별 봉급표입니다 일반직공무원과 일반직에 준하는 특정직 및 별정직 공무원등의 봉급표 전문경력관 등의 봉급표 공안업무 등에 종사하는 공무원의 봉급표 연구직공무원 및 국가정보원 전문관의 봉급표 지도직공무원 봉급표 일반직 우정직군 공무원 봉급표 경찰 소방공무원 및 의무경찰 등의 봉급표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원 등의 봉급표 국립대학 교원 등의 봉급표 헌법연구관 헌법연구관보 봉급표 공무원 여러분들의 헌신에 감사를 표합니다 2024. 2. 15.
공무원 관리업무수당 공무원의 초과근무수당(2종)인 초과근무수당과 관리업무수당 중에 관리업무수당에 대해 알아보겠읍니다 아래에서 내용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1. 공무원 관리업무수당 지급대상 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의 1항에 의하면 별표13에 규정된 공무원에게는 예산의 범위에서 지급구분에 따라 관리업무수당을 지급하도록 되어 있읍니다 아래의 별표13을 참고 하세요 2. 공무원 관리업무수당 지급금액 공무원 관리업무수당 지급금액은 연구직공무원과 지도직공무원은 월봉급액의 7.8%를 지급하고 공무원 보수 규정 별표12의 비고에 있는 제1호나목 및 다목에 따른 봉급을 받는 국립대학의 교원은 월봉급액의 9%를 지급하고 별표12의 비고에 있는 제1호나목 및 다목에 따른 봉급을 받는 국립대학의 교원을 제외한 교육공무원은 월봉급액.. 2024. 2. 14.
공무원 초과근무수당 공무원에게 지급되는 보수중에 일부로서 직무여건 및 생활여건등에 따라 지급되는 부가급여중에 초과근무수당(2종)인 초과근무수당과 관리업무수당 이 있으며 이중에 초과근무수당에 대해 알아 보겠읍니다 1. 공무원 초과근무수당 종류 공무원 초과근무수당의 종류는 3가지로 시간외근무수당 현업공무원등에 대한 야간근무수당 현업공무원등에 대한 휴일근무수당이 있읍니다 2. 공무원 시간외근무수당 지급대상 공무원 시간외근무수당 지급대상으로는 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15조에서 근무명령에 따라 규정된 근무시간 외에 근무한 사람에게는 예산의 범위에서 시간외근무수당을 지급하도록 되어 있읍니다 다만 공무원 보수 규정 별표33의 일반임기제공무원 중에 연봉등급 1호부터 4호까지 해당되는 공무원분들과 제 7조1항 단서에 해당되는 공무원.. 2024. 2. 13.
군법무관수당 지급대상 지급금액 특수근무수당 (4종)인 위험근무수당 특수업무수당 업무대행수당 군법무관수당 이 중에 군법무관수당에 대해 알아보겠읍니다 1. 군법무관수당 이란 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14조의3에서 군법무관에게는 월봉급액의 35%의 범위에서 군법무관수당을 지급하되 지급대상 및 지급액은 국방부령으로 정하게 되어있읍니다 아래 공무원 수당에 관한 규정 제14조의3을 참고 하세요 2. 군법무관수당 지급대상과 지급금액 군법무관에게 지급하는 군법무관수당의 지급대상과 지급금액은 군인 등의 특수근무수당에 관한 규칙 제4조에 의하면 임용된 후 3년을 초과한 복무자는 월봉급액의 34.6%를 지급하고 임용된지 3년 이하인 복무자는 월봉급액의 6.7%를 지급 하도록 되어 있읍니다 다만 임용된지 3년 이하인 복무자중에 장기군법무관으로 임용되.. 2024. 2. 11.
공무원 업무대행수당 지급대상 지급금액 공무원의 업무가 가중 될때가 있는데 바로 옆에서 같이 일을 하던 동료가 아프거나 임신이나 휴가 병가등의 이유로 쉴때 나에게 그 일이 전가되어 업무량이 많아 질때가 있는데 이럴 때 주어지는 수당이 공무원 업무대행수당 입니다 오늘은 공무원 업무대행수당에 대해 알아보겠읍니다 1. 공무원 업무대행수당 지급대상 공무원 업무대행수당 지급대상으로는 공무원임용령 제57조의4제1항, 경찰공무원 임용령 제30조의3제1항, 해양경찰청 소속 경찰공무원 임용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 소방공무원임용령 제30조의4제1항, 군인사법 시행령 제53조의2제1항, 군무원인사법 시행령 제38조의2제1항, 공무원 재해보상법 시행령 제58조제3항에 따라서 병가 출산휴가 유산휴가 사산휴가 육아휴직 또는 공무상 질병휴직 중인 공무원의 업무를 대.. 2024. 2. 10.
공무원 특수업무수당 지급대상 지급금액 공무원들의 헌신에 감사하며 공무원 특수근무수당 (4종)인 위험근무수당 특수업무수당 업무대행수당 군법무관수당 이렇게 4종류 중에 특수업무수당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 입니다 1. 공무원 특수업무수당 이란 공무원 특수업무수당은 공무원들이 특수한 업무에 종사할때 지급 되는 수당제도입니다 2. 공무원 특수업무수당 지급대상 공무원 특수업무수당 지급대상으로는 기술분야 교육 및 연구분야 특수업무분야 재외직 분야로 나누어지고 각 분야 별로 수당 명칭 또한 바뀌며 기술분야에 기술정보수당 지급대상은 공무원임용령 별표1의 과학기술직군의 각 직렬의 공무원과 관리운영직군의 사무운영 직렬을 제외한 각 직렬의 공무원이 대상이며 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14조 별표11에 규정 하고 있읍니다 다음 단락 아래 별표11을 참고 하세요 .. 2024. 2. 9.
공무원 위험근무수당 및 군인 위험근무수당 공무원의 특수근무수당(4종)인 위험근무수당 특수업무수당 업무대행수당 군법무관수당 이렇게 네가지가 있으며 이중에 위험근무수당에 대해 알아보겠읍니다 아래의 내용에서 확인 하시길 바랍니다 1. 공무원 위험근무수당이란 공무원 위험근무수당은 위험한일이나 위험지역에서 근무하시는 공무원등에게 수당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2. 공무원 위험근무수당 지급 구분 공무원 위험근무수당은 지급 구분과 등급별 구분에 따라서 위험근무수당을 지급하게 되고 공무원 위험근무수당 지급 구분은 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 13조에 별표8의 지급 구분표에 의해 지급됩니다 갑종은 6만원 을종은 5만원 병종은 4만원을 지급받게 됩니다 아래표를 참고하세요 (별표8) 3. 공무원 위험근무수당 등급별 구분 공무원 위험근무수당 등급별 구분은 공무원 수.. 2024. 2. 7.
반응형